“일치와 쇄신으로 성장하는 교회, 종교인 모두는 형제자매입니다”

“일치와 쇄신으로 성장하는 교회, 종교인 모두는 형제자매입니다”

일치와 쇄신으로 자라는 교회, 종교인 모두는 형제자매입니다다양성 난립 아닌 균형 위해 불신과 오해 깨고 자주 만나야 고통받는 이들의 친구가 되고 시대적 요청을 내 삶으로 지내며 사회적 약자 위한 배려 나서야 양극화된 사회 안에서 종교인들은 사회 통합, 친교와 일치에 기여해야 합니다. 이같이 취지에 따라 이웃종교들과의 상호 이해와 협력을 위한 새 기획 이웃종교 만남을 월 1회 게재합니다. 첫 차례대로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NCCK 총무 김종생 목사를 만나 우리 사회의 현실과 종교인들의 소명을 물었다.

김종생 목사는 대한예수교장로회 통합교단 소속으로 지난해 8월 NCCK 총무로 선출됐습니다.


교회가 왜 있어야 하고 앞으로도 계속 있어야 할까요?
교회가 왜 있어야 하고 앞으로도 계속 있어야 할까요?

교회가 왜 있어야 하고 앞으로도 계속 있어야 할까요?

예수님이 사용한 비유를 사용하자면 , 복음이라는 포도주를 담는 가죽 부대가 되기 위함입니다.

예수님 당시 유대교는 여러 종교적 의식과 제사들에 열심이 많았고, 그런 의식이 매일 계속되었지만, 사람들은그 속에서 하나님과 만나는 화목의 기쁨을 얻지는 못했습니다. 요한복음은 예수님이 행하신 기적 7개를 기록하고 있는데

그 중의 첫째 기적이 사역 초기에 행한, 가나 혼인 잔칫집의 물을 포도주로 바꾸는 기적이었습니다.

그 기적 사건 다음에는 사역의 말기에 이루어진 성전 청결 사건을 병치해서 기록합니다. 이렇게 한 것은 당시 유대교의 형편을 보여주기 위함입니다. 당시 유대교는 신랑 신부의 만남의 기쁨의 포도주가 떨어진 결혼식장처럼, 하나님과의 만남의 기쁨이 사라진 종교가 되었다는 것입니다.

교회 봉사 강요
교회 봉사 강요

교회 봉사 강요

많은 교회들이 저지르는 실수가 교회에 성실하게 수행하는 이행하는 다니는 성도를 봉사라는 이유로 노동착취하는 것입니다. 신자들 개개인의 영적인 성장을 살펴보거나 사랑을 두지 않고 오로지 교회의 부속품처럼 다루는 것에 지치고 부상 입어 떠나는 것입니다. 특히 목회자들은 자신의 자녀는 외국에 비싼 유학을 보내고 놀고먹게 하면서 교회 내 청년들은 마치 부하직원처럼 노동을 착취하는 사실을 알게되면 교회에 다니면서 봉사하는 것에 대한 회의감을 느끼게 합니다.

교회의 존재 원인을 다른 비유로 설명할 수도 있습니다.
교회의 존재 원인을 다른 비유로 설명할 수도 있습니다.

교회의 존재 원인을 다른 비유로 설명할 수도 있습니다.

필립 얀시가 쓴 이란 책에 , 얼 파머 목사님의 이야기가 나옵니다. 미국의 밀피타스란 작은 마을이 있었는데, 우리나라 예술의 전당과 같은 곳도 없고, 괜찮은 문화행사조차 구경 하기 어려운 곳이었고, 다만 고등학교 학생들로 구성된 청결한 악단이 있을 뿐이었습니다. 하지만 그 악단이 강당에서 베토벤 교향곡 9번을 연주했습니다. 음악을 조금이라도 아는 사람이라면 그 연주를 들으면서 고개를 절레절레 흔들 정도여서, 만약 베토벤이 그 연주를 들었다면 무덤에서 벌떡 일어났을지 모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 젊은 연주가 그 동네에서 연주되어야 할 필요가 있으면 무엇일까요?그 이유는 그 마을 인원은 그 고등학교 악단이 아니고는 베토벤의 위대한 교향곡 9 번을 일생동안 한 번도 들을 수 없기 때문입니다.

교회의 봉사와 미래비전

교회 봉사의 중요성 교회 봉사는 그리스도의 사랑을 분배하고 섬기는 일입니다.

여러 봉사 분야: 음악, 어린이, 노인, 선교, 예배 등 여러 분야에서 봉사자들이 활약하고 있습니다.

청년들의 열정 젊은 세대들이 새로운 봉사 분야를 개척하며 교회의 미래를 밝게 그려나가고 있습니다.

미래비전의 중요성: 교회는 변경하는 세상에 발맞춰 지속적인 혁신과 발전을 위해 미래비전을 설정해야 합니다.

지속 가능한 발전 미래비전은 교회의 성장과 사역을 지속 가능하게 하여 더 많은 이들에게 희망과 사랑을 전할 수 있도록 합니다.

순례자인 하느님의 백성

하느님의 백성은 종말적 완성을 향한 지상 여정의 순례자다. 일치의 신비요, 구원의 성사인 하느님의 백성의 개념은, 다양성 안에서의 교회 공동체 구성원들의 일치를 보존하면서 순례하는 교회를 묘사합니다. 즉 성직자 중심주의적인 교회, 피라미드 모양의 교회 모습이 아니라 모두가 다. 공통 사제직과 공통 예언자직을 지니고 공통적으로 왕직을 수행하는 하느님의 백성으로서의 교회임을 강조합니다. 이 교회는, 마치 사막을 여행하던 구약의 이스라엘 백성처럼, 새로운 이스라엘 백성인 교회 공동체는 성령의 인도로 지속적으로 자기 자신을 쇄신해 가면서 시대와 민족을 초월한 하느님의 나라를 지상에 건설하고 확장하는 순례자라는 말입니다.

자주 묻는 질문

교회가 왜 있어야 하고 앞으로도 계속 있어야

예수님이 사용한 비유를 사용하자면 , 복음이라는 포도주를 담는 가죽 부대가 되기 위함입니다. 좀 더 구체적인 사항은 본문을 참고해 주세요.

교회 봉사 강요

많은 교회들이 저지르는 실수가 교회에 성실하게 수행하는 이행하는 다니는 성도를 봉사라는 이유로 노동착취하는 것입니다. 좀 더 구체적인 사항은 본문을 참고해 주세요.

교회의 존재 원인을 다른 비유로 설명할 수도

필립 얀시가 쓴 이란 책에 , 얼 파머 목사님의 이야기가 나옵니다. 더 알고싶으시면 본문을 클릭해주세요.

Leave a Comment